전체메뉴

자료마당

자료마당

2025 전북특별자치도 먹거리 숙의기구 1차 전체회의 주요 내용

페이지 정보

작성자
숙의기구관리자
작성일자
2025-09-05 11:18:42
조회수
134

본문



□ 일시: 2025년 7월 19일(토) 오후 2시~6시

□ 장소: 전북특별자치도청 4층 대회의실

□ 참석 인원: 총 인원 73인 중 55인 참석


□ 주요 내용


   ○ 먹거리숙의기구 참가자 위촉 및 숙의기구 의장 선출

        - 숙의기구 구성원 유수아님과 박상옥님이 참가자 대표로 위촉장을 받음

        - 먹거리숙의기구 준비위원장으로 활동해 온 김보금님을 2025년도 먹거리 숙의기구 의장으로 만장일치로 선출함


   ○ 숙의기구 논의과정·운영계획 승인

        - 황영모 숙의기구 전문가 자문위원의 숙의기구 논의과정과 운영계획(안)의 발제를 들음

  

   ○ 숙의기구 운영규칙(우리의 약속) 승인

        - 구성원들이 논의한 숙의기구 운영규칙을 모둠별로 발표하고,

        - 김보금 의장이 숙의기구 운영규칙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고, 참석자들이 만장일치로 이를 승인함

        - 1차 전체회의 승인 운영규칙(우리의 약속)

           · 공공성을 가지고 의견 제안하기

           · 발언시간 존중하기(1분 30초 이내로 모든 의견 존중하기)

           · 출석 100% / 우리가 꼭 참석해 빛낸다/빠지지 않고, 참석해요

           · 잘 듣자/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기/상대방 의견에 경청하기/비판보다는 경청해주기/다른 사람 의견에 공감해 주자/다른 사람 의견 잘 들어주기

           ·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기/발표는 모두가 돌아가면서 하기/적극적으로 의견을 이야기해요

           · 삼천포행 금지/주제에 충실하자

           ·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기/서로 배려하기/나와 다른 의견도 존중해요

           · 모든 과정에 적극 참여하기/단톡방에서 자주 소통하기

           · 시간 잘 지키기

           · 깊게·넓게 이야기하기 위해 사전에 충분히 공부해 오기/관련된 자료학습 및 조사/관련 정보나 행사 함께 공유하기


   ○ 모둠별 주요 논의의제 도출 승인

        - 모둠별 토론을 통해 모둠별 논의주제를 발표하고,

        - 김보금 의장이 모둠별로 발표한 논의주제에 대해 동의 여부를 묻고, 참석자들이 만장일치로 이를 승인함

        - 1차 전체회의 승인 모둠별 논의주제

 1조_건강한 지역 먹거리, 누구나 쉽게 접할 방법은?

        ① 식재료 활용 안내 미흡

        ② 안전한 먹거리 위한 친환경 농산물 매장 확대 필요

        ③ 생산단가 보조


2조_건강한 지역 먹거리, 누구나 쉽게 접할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먹거리 교육부재

        ② 반조리식품의 대중화


3조_ 아이들의 학교급식, 어떻게 개선해 나갈 것인가?

        ① 학교급식 메뉴 등의 다양화 부족

        ② 친환경 농산물 공급 부족

        ③ 통합관리 및 운영 부족


4조_ 농촌지역에서 지역먹거리 소비, 확대 방법은

        ① 지역먹거리 플랫폼 부족과 역할 부재

        ② 공공급식 거버넌스 부재


5조_ 지역사회 공공급식 확대를 위한 현실적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지자체별 공공급식센터의 물류·서비스 한계

        ② 지자체의 의지와 지원 필요

        ③ 먹거리통합지원센터의 기능 미흡


6조_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먹거리, 수단과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친환경 농산물 가격보전 제도 미비

        ② 친환경 농산물의 우수성에 대한 연구자료 부족, 홍보·교육 부족


7조_ 소비자 밥상필요 다양한 먹거리, 확대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먹거리인식/먹거리 이용법 부족과 식품첨가물 등으로 인해 위협받는 식탁 - 간식, 방학중 도시락

        ② 늘봄교실, 경로당 식재료 공급 등에 지역먹거리 활용

        ③ 다양한 지역생산 가공품 부족


8조_ 지역과 지역을 잇는 상생먹거리, 활로와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지자체간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(생산-유통-소비)

        ② 로컬 직매장간 소통의 장이 필요

        ③ 다품종 생산체계 부족(못난이, 기후변화 대응품종 등)

        ④ 지역내 농식품 과일 문제 해소


9조_ 지역과 이웃의 먹거리 소외, 줄여나갈 방법은?

        ① 먹거리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민간과 행정 간의 거버넌스가 취약한 실정이다

        ② 마을 단위의 먹거리 돌봄체계가 미흡하다


   ○ 김관영 도지사와의 간담회

        -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가 숙의기구를 찾아 숙의기구 참가자들을 격려함

        - 숙의기구 구성원 3인이 △먹거리돌봄시스템 구축 △먹거리정책행정협의체 실질화 △안정적인 공공급식 활성화 방안에 대해 질문하고,

        - 김관영 지사가 도민 의견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함.  끝.


53746686c6bfa6fea556a435165ce2a6_1757038716_4344.jpg
 

[54810]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원장동길 111-18

Copyright(C)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